반응형
GitHub에서 add를 하던 중 아래와 같이 경고 메시지가 떴다.

경고의 원인은 다른 운영체제(OS)의 줄바꿈 문자열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Windows에서는 줄 바꿈을 나타내는 기본 문자열이 CRLF(Carriage-Return+LineFeed)를 사용한다.

LF(Line-Feed)
줄바꿈 문자로 텍스트 파일에서 한 줄의 끝을 나타낸다. 만약 이 문자를 만나면 커서가 다음 줄로 이동하여 텍스트를 쓰게 된다.
CR(Carriage Return)
텍스트 파일에서 줄의 시작 위치로 커서를 이동시킨다.
CRLF(Carriage-Return+LineFeed)
커서가 다음 줄로 이동하면서 동시에 줄의 시작 위치로 이동하여 새로운 줄에 텍스트를 쓰게 된다.
해결 방법
core.autocrlf 설정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 이는 Git이 파일을 커밋할 때 LF와 CRLF를 서로 변환해주는 기능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이 설정을 사용하면 Git은 파일을 커밋할 때 줄 끝 형식을 자동으로 변환하여 일관된 형식을 유지하게 된다.
$git config core.autocrlf true // 현재 프로젝트에 대해서만 설정
$git config --global core.autocrlf true // 현재 사용자에게 있는 모든 Git프로젝트에 설정
반응형
'유니티 공부 > GitHub'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Hub - 최근 커밋 수정하기 (amend 사용) (0) | 2024.04.04 |
---|---|
GitHub - LFS(Large File Storage)사용법-100MB이상의 파일을 업로드 하기 (1) | 2024.03.18 |
GitHub - 브랜치(branch) 이용해서 fetch,pull,add, commit, push 해보기 +) branch관련 명령어들 (0) | 2024.03.15 |
GitHub - 로컬 저장소, 원격저장소(git remote명령어들) 추가, 폴더 만들기(mkdir), 경로 변경(cd) (0) | 2024.03.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