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552

컴퓨터 구조 - 정보단위(비트,바이트,워드,이진수,십육진수) 정보 단위 1. 비트(bit) 컴퓨터가 이해하는 가장 작은 정보 단위이다. 0또는 1의 값을 나타내며 n비트로 2ⁿ가지의 정보 표현 가능하다. 프로그램, 데이터 및 파일은 이진 비트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2. 바이트(Byte) 8비트로 이루어진 정보 단위이다. 컴퓨터 시스템에서 문자, 숫자, 이미지, 음악 및 기타 데이터를 저장하고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3. 워드(word) 워드는 CPU가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크기를 의미한다. CPU의 워드 크기는 해당 CPU가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비트 수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만약 CPU가 한 번에 16비트를 처리할 수 있다면 1워드는 16비트가 되고, 32비트를 처리할 수 있다면 1워드는 32비트가 된다. 워드 크기는 CPU마다 다르지만, 현대 .. 2023. 10. 21.
C# - 수식의 표기법(전위, 중위, 후위) 전위 표기법(PreFix) 연산자가 먼저 나오고, 그 뒤에 해당 연산자가 적용될 때 피연산자가 나온다. 예 : +AB 중위 표기법(InFix)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수학 표기법이다. 연산자가 피 연산자 사이에 위치하고 괄호를 통해 연산자의 우선순위를 표현한다. 예 : A+B 후위 표기법(PostFix) 연산자가 나중에 오고 그 전에 해당 연산자가 적용될 때 피연산자가 나온다. 연산자 우선순위가 명확하므로 괄호가 필요없다. 예 : AB+ 2023. 10. 20.
컴퓨터구조 - 컴퓨터구조의 큰 그림(CPU, 메모리,보조기억장치,입출력장치) 컴퓨터 구조 지식은 크게 컴퓨터가 이해하는 정보와 컴퓨터의 네가지 핵심 부품으로 나눠질 수 있다. 컴퓨터가 이해하는 정보 컴퓨터는 0과 1로 표현된 정보만을 이해한다. 그리고 0과 1로 표현되는 정보에는 크게 두 종류가 있는데 바로 데이터와 명령어이다. 01 데이터(Data) 데이터는 컴퓨터와 상호 작용하고 저장하는 정보를 나타낸다. 이는 숫자, 문자, 이미지, 동영상 등과 같은 정적인 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정보는 0과 1로 표현되며 이진(binary) 표현을 통해 컴퓨터에 저장 및 처리된다. 02 명령어(Instructions) 명령어는 컴퓨터의 동작을 지시하는 정보이다. 명령어는 컴퓨터의 중앙 처리 장치(CPU)에서 실행되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기본 요소이. 명령어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 2023. 10. 18.
컴퓨터구조 - 컴퓨터 구조를 배워야 하는 이유 프로그래머에게 프로그래밍 언어의 문법을 이해하는 것은 중요하다. 하지만 그전에 컴퓨터 구조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컴퓨터 구조를 알게된다면 다음과 같은 것이 향상시킬 수 있다. 1. 문제 해결 능력 프로그래머는 같은 코드를 작성하더라도 다양한 상황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야 한다. 이는 코드상의 문법적인 오류 뿐만 아니라 논리적인 오류, 실행 시간 오류 등을 포함된다. 이는 개발자는 문법뿐만 아니라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우고 컴퓨터 내부를 이해하여 문제를 심도 있게 생각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프로그래머는 컴퓨터를 미지의 대상에서 분석의 대상으로 보야아 한다. 이는 컴퓨터의 작동 원리와 운영체제를 이해하고 코드가 어떻게 실행되는지를 알야한다는 의미이다. 2. 성능, 용량, 비용을 고려 단.. 2023. 10. 18.
백준 C# - 17298 +) 풀이 시간초과 문제를 보고 어 쉽네? 이렇게 풀다가 시간초과가 나왔다. int n = int.Parse(Console.ReadLine()); string line = Console.ReadLine(); string[] token = line.Split(' '); int[] A = new int[n]; StringBuilder answer = new StringBuilder(); for (int i = 0; i < n; i++) { A[i] = int.Parse(token[i]); } int[] NGE = new int[n]; for (int i = 0; i < n; i++) { int max = -1; for (int j = i + 1; j < n; j++) { if (A[i] < A[j]) { max = A.. 2023. 10. 17.
백준 C# - 10799 +) 풀이 풀이 open변수는 '('의 갯수, piece변수는 잘린 쇠막대기의 총 개수 01 '('인 경우 open변수를 증가시켜 새로운 쇠막대기의 시작을 표시한다. if (c == '(') open++; 02 ')'인 경우 쇠막대기가 끝난 것을 표시하기 위해 open을 감소시키고 끝났으므로 조각이 됐으니까 piece를 증가시킨다. else if (c == ')') { open--; piece++; } 03 레이저인 경우 레이저로 인해 현재 쇠막대기들이 잘리므로 piece에 갯수를 증가시킨다. else if (c == '+') { piece += open; } 코드 전문 using System; 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 using System.Linq; using System.T.. 2023. 10. 15.
반응형